본문 바로가기
경영학

기업인수합병

by 킴체리 2022. 5. 21.

 최근 한국에서는 기업의 인수합병이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 전략적 제휴가 독립적인 기업들이 일부 기능 면에서 협조체제를 이루는 것에 비해 기업 인수합병은 두 기업이 하나로 통합하여 운영하는 형태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넓은 의미로 볼 때, 기업 인수합병 역시 전략적 제휴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기업이 제휴 관계에 투자하는 지분이 높아짐에 따라 두 기업이 전략적 제휴에 몰입하는 정도가 높아진다. 기업 인수합병이란 두 기업이 서로가 너무나 절실히 필요로 하고 있기 때문에 합하여 하나의 기업으로 새롭게 탄생하는 것이다. 즉, 가장 강한 형태의 제휴 관계라 볼 수 있다.

 인수합병의 목적
 과거 서구에는 비관련 다각화 전략을 수행함으로써 자신의 본래의 사업 부문과 관련성이 없는 기업들을 인수하여 많은 콩들로 머릿니 탄생하였다. 반면, 1980년대 후반에는 기업들이 과거에 수행해 온 비관련 사업 부문을 다시 매각함으로써 인수합병이 활발히 일어났다.
 한편, 1990년대 후반부터는 글로벌화 추세 속에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M&A가 활발하였고, 인터넷 버블이 꺼진 2000년대 초반 다소 주춤해졌다가 다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기업인수합병 붐이 왜 일어나는 것일까? 우리는 먼저 인수 대상 기업의 가치를 판매자보다 구매자가 높게 평가하지 않으면 기업 인수합병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즉, 구매자가 판매자보다 그 인수 대상 기업이 가진 자산을 통해서 더 많은 수익을 올릴 수 있다는 판단이 없으면 기업 인수합병이 일어날 수 없다는 사실을 직시해야 한다. 인수합병의 목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처럼 구매자가 판매자보다 더 높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이유를 이해해야 한다.

신속한 시장진입
 인수합병은 시장 진입 시 필요한 시간을 절약한다. 기업이 신규시장에 들어가 독자적으로 사업을 키우는 데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 그러나 많은 경우 기업들은 새로운 사업 분야에 필요한 경영자원과 핵심역량을 전부 보유하고 있지 않으며, 필요한 경영자원과 핵심역량을 취득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신규사업 분야에 빠르게 진출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 이미 그 사업 분야의 업체를 인수하는 것이 훨씬 진입시간을 줄일 수 있다. 왜냐하면, 인수를 통해서 피인수 기업이 가지고 있는 핵심역량을 일순간에 습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신속한 진입이 경쟁우위 창출에 정말 중요한 요소라면 기업 인수합병에서 지불하는 프리미엄은 충분히 그 가치가 있는 것이다.

 규모의 경제와 범위의 경제 활용
 기업들은 때로 인수합병을 통해 규모의 경제와 범위의 경제를 실현하고자 한다. 한국의 은행들이 합병을 통해 대형화를 시도하는 현상은 규모의 경제를 활용하려는 의도이다. 더욱이 한 산업에 소수의 기업만이 존재하고 있는 과점적인 시장 구조하에서 이 소수의 기업은 합병을 통하여 거대기업으로 새롭게 탄생함에 따라서 독점력을 행사할 수 있게 된다. 미국에서 20세기 초반에 상당히 많은 수의 수평적인 합병이 일어난 이유는 합병을 통해 거대 기업화함으로써 시장지배력을 높이려는 의도로부터 비롯된 것이었다. 미국의 법무부는 반트러스트 법을 제정하여 독점력을 많이 증가시킬 수 있는 수평적인 합병을 금지하고 있다. 한국의 공정거래법 역시 시장지배적인 사업자가 수평적 합병을 통해 독점력을 얻는 경우를 규제하고 있다.

 리스트럭처링
 기업들이 인수합병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방법은 자본시장에서 저평가된 자산을 구입하거나 또는 리스트럭처링을 통해 그 기업의 자산가치를 더 높이는 것이다. 만일 어느 기업이 방만한 경영으로 인하여 기업의 가치가 저평가되고 있다면 이 기업을 인수하여 경영층을 교체하면 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다. 1980년대 들어 콩들로 머리에 대한 적대적 기업 인수를 통하여 방만한 경영을 해 온 기업의 경영진을 교체하고, 핵심사업이 아닌 분야는 시장에서 매각하여 시장가치를 높이는 리스트럭처링이 성행하였다. 이처럼 인수합병은 구조조정의 중요한 수단으로 평가되고 있다.

 성숙 산업으로 진입
 인수합병은 산업 전반적으로 유휴시설이 많은 산업에서 선호되는 진입 방법이다. 특히 생산시설이 포화상태에 있는 산업에 진출하려고 할 때 공장을 새로 건설하여 산업 내 과잉 생산설비를 추가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자본 집약적이며 성숙화된 석유화학산업에서는 기업들이 신규로 진입할 때 공장 신설보다는 기존 기업의 인수 방식을 선호한다.

 해외시장 진출
 기업 인수합병은 해외시장을 개척하는 좋은 방법이기도 하다. 외국시장에 대하여 완벽한 시장정보를 갖고 새로운 유통망을 확보하고 생산시설을 갖추기까지는 많은 시간과 투자자금이 소요된다. 따라서 해외시장을 개척할 때는 새로 공장을 짓는 것보다 기존 기업의 인수가 훨씬 쉬운 방법이 되기도 한다. 

 인수합병의 성과
과거 한국에서는 자본시장에서의 매입을 통한 인수합병보다 실패한 기업, 즉 부도난 기업에 대한 인수합병이 주종을 이루었다. 또한 많은 경우, 정부가 특혜 금융을 제공하면서 실패기업의 인수를 추진하였으므로 인수합병전략의 성과에 대한 평가를 하기는 상당히 어렵다. 그러나 자본시장을 통한 인수합병이 활발히 일어난 미국에서의 인수합병의 성과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관련 부문에서의 기업 인수의 성과는 높으나 비관련 부문에서의 기업 인수의 성과는 훨씬 취약하게 나타난다. Porter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미국에서 일어난 기업 인수합병의 경우 70% 정도는 실패하고 약 5년 사이에 다시 매각된다고 한다. Scherer와 Ravens craft도 기업 인수합병으로 기업을 인수하였다가 다시 매각한 많은 경우들을 심도 있게 연구한 결과 대부분의 기업이 인수합병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데 실패하였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인수합병의 실패
 기업들의 인수합병이 실패로 돌아가는 가장 큰 이유는 인수합병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데 실패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가치 창출의 실패는 기업들이 인수합병 시 많은 프리미엄을 주고 기업을 인수한다는 사실 때문에 더욱 심각해진다. 즉, M&A에는 이른바 승자의 저주라는 것이 존재한다. 인수기업이 매각 기업에 30~100%의 인수 프리미엄을 지불하는 경우, 인수 이후 통합된 두 기업으로부터 그 인수 프리미엄 이상의 새로운 가치가 창출되지 못한다면 그 인수 합병은 실패한 셈이 된다. 

 

'경영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직구조조정  (0) 2022.05.22
구조조정의 정의  (0) 2022.05.22
성공적인 제휴방법  (0) 2022.05.21
전략적 제휴의 주요 유형 및 성공적인 제휴방법  (0) 2022.05.21
전략적 제휴의 정의와 목적  (0) 2022.05.14

댓글